2021년 2월 1일 미얀마에서 쿠데타가 발생했습니다. 아웅산 수치는 다시 한번 가택 연금되었고 미얀마 국민들은 아웅산 수치의 석방과 민주화를 요구하며 연일 시위를 벌이고 있습니다. 오늘은 미얀마 민주화의 상징인 아웅산 수치의 일생과 그녀를 둘러싼 논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웅산 수치의 삶
미얀마의 영웅 아웅 산의 딸로 태어나다.
아웅산 수치는 1945년 미얀마에서 태어났습니다. 아웅산 수치 아버지 아웅 산은 영국으로부터 미얀마의 독립을 주도한 건국의 아버지, 국민 영웅으로 불립니다. 하지만 정작 아웅 산은 독립을 불과 몇 개월 앞둔 1947년 반대파에게 암살당하게 됩니다. 이때 아웅산 수치의 나이는 불과 2살이었습니다. 이후 수치는 외교관인 어머니를 따라 해외로 이주하게 됩니다.
평범한 여자로서의 삶
아웅산 수치는 28년간 미얀마를 떠나 해외생활을 하게 됩니다. 인도에서 고등학교와 대학을 나오고 영국 옥스퍼드에서 정치와 철학을 공부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다 1972년에는 영국 옥스퍼드 재학 시절에 만난 영국인 마이클 에어리스와 결혼해 두 아들을 낳습니다. 수치의 인생에서 가장 평범하고 평온한 시기였을지 모릅니다.
1988년 미얀마의 현실과 마주하다.
1988년 아웅산 수치의 인생이 송두리째 바뀌는 사건이 발생합니다. 당시 수치는 어머니의 병간호를 위해 미얀마에 머무르고 있을 때였습니다.
조국 미얀마는 혼돈 그 자체였습니다. 조국 미얀마에서는 시민들이 군부에 대항하여 시위를 하고 있었고 군부는 그런 시민을 무차별적으로 학살했습니다. 그녀는 그러한 현실을 외면할 수 없었고 자신을 따르는 세력을 모아 민주주의민족동맹(NLD)을 결성합니다.
1989년 가택연금을 당하다.
아웅산 수치를 중심으로 하나로 똘똘 뭉친 미얀마 국민을 보고 군부는 큰 위협을 느끼게 됩니다. 군부는 아웅산 수치에게 해외로 떠날 것을 강요했으나 수치는 이를 거절했습니다. 결국 군부는 아웅산 수치를 가택 연금시켰고 이는 2010년까지 15년 동안 지속됩니다. 1990년에는 아웅산 수치가 가택 연금된 상태로 총선이 치러졌고, NLD당은 압승을 거둡니다. 하지만 군부에 의해 선거는 무효가 됐고 독재는 계속됐습니다.
짓밟힌 민주화의 꿈
가택연금 해제 후 수치는 2012년 국회의원에 당선됩니다. 이후 NLD를 이끌며 2015년 총선에서 압승을 거두고 국가 고문에 오르며 문민정부를 탄생시킵니다. 이후 2020년 총선에서도 압승을 거두며 미얀마 국민들에게 민주화의 희망을 보여줬습니다. 하지만 군부는 2020년 총선 결과를 두고 "유권자 명부 860만 명이 실제와 다르다."라며 재투표를 강요했습니다. 아웅산 수치는 이를 거부했고 결국 군부는 2021년 2월 1일 쿠데타를 일으킵니다. 수치는 11년 만에 다시 가택연금을 당하게 됐고 미얀마 국민들은 수치의 가택연금 해제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아웅산 수치 두얼굴?
평화의 상징 vs 인권 탄압가
아웅산 수치는 미얀마 민주화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1991년 노벨상을 수상하게 됩니다. 하지만 평화의 상징인 수치의 명성이 한순간에 사라진 사건이 발생합니다. 이유는 2017년 발생한 로힝야족 사건. 로힝야족은 미얀마 서부에 거주하는 소수민족입니다. 로힝야족은 미얀마로부터의 독립을 지속적으로 요구해왔고 군부는 사회를 안정시킨다는 명분으로 2017년부터 로힝야족의 정착지를 파괴하고 집단학살을 자행합니다.
아웅산 수치는 로힝야족 학살에 침묵했고 2019년 로힝야 집단 학살 재판에 참석해 "신뢰를 쌓기 시작한 지역사회들 간 분쟁을 일으킬 수 있는 조치들은 화합에 있어 방해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라며 군부를 변호하는 발언을 하기도 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미얀마 시민들은 아웅산 수치에게 절대적인 신뢰를 보내고 있습니다. 그녀를 둘러싼 여러 논란을 떠나서 그녀가 미얀마의 유일한 희망임은 분명해 보입니다.
'우알시 뉴스 >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도광산(사도섬) 역사 왜곡 총정리 (0) | 2021.12.30 |
---|---|
군함도 역사 왜곡 총 정리 (0) | 2021.12.29 |
미얀마 쿠데타 이유, 상황 핵심 정리 (0) | 2021.12.18 |
cptpp 란? cptpp 뜻? 핵심 내용 정리 (0) | 2021.12.16 |
신장 위구르 자치구 탄압 이유 핵심 알아보기 (0) | 2021.12.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