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알시 뉴스/사회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이유 핵심 정리

우알시 2021. 12. 13. 21:28
반응형

얼마 전 미국의 일간지 워싱턴 포스트는 "러시아가 내년 초 17만 5천 명의 병력을 동원하여 우크라이나를 침공할 가능성이 있다."라며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이 3차 세계대전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최근 미국은 민주주의 정상회의에서 중국과 러시아를 배제했습니다. G2 간 갈등이 지속되고 러시아 우크라이나 문제까지 생기며 이미 세계는 새로운 냉전시대로 접어들었습니다. 오늘은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이유,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국제사회의 반응 등 핵심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이유 

① 크림반도와 돈바스 지역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이유1 (출처 : KBS)

크림반도는 2014년 러시아에 합병된 지역입니다.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이유를 알기 위해 크림반도 합병 당시 시대적 배경을 알아보겠습니다. 우크라이나는 2014년 전후로 심각한 경제위기를 겪고 있었습니다. 당시 친 러시아 성향의 야누코비치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경제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러시아로부터 차관을 들여오기로 결정합니다. 이에 많은 시민들은 반발을 하였고 곳곳에서 시위를 일으켰습니다. 결국 야누코비치 대통령은 탄핵을 당하고 이후 우크라이나는 반 러시아 정책을 펼치게 됩니다. 그중 하나가 러시아어를 제2공용어로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는 정책이었습니다. 러시아계 주민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는 크림반도는 당연히 이 정책을 받아들이지 않았고 우크라이나로부터 독립을 해야 한다는 여론이 형성됐습니다. 이를 틈타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내 러시아계 시민을 보호한다는 명분으로 크림반도에 군대를 파견하고 2014년에는 크림반도를 러시아로 합병하게 됩니다.

 

전쟁으로 폐허가 된 돈바스 지역 (출처 : KBS)

러시아와 붙어있는 지리적 특성상 친 러시아 성향이 강한 돈바스 지역에서도 러시아로 합병을 하자는 여론이 형성되었고 급기야 우크라이나와 대적하는 반군 세력까지 등장하게 됩니다. 우크라이나는 러시아 정부가 돈바스 지역을 노리고 반군 세력을 지원해왔다고 주장합니다. 결국 영토문제가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이유 중 하나인 것입니다. 

 

 

② 나토(NATO)의 동쪽 확장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이유2 (출처 : KBS)

나토(NATO)의 동쪽 확장은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이유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나토(NATO)는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의 약자로 북대서양조약기구를 뜻합니다. 나토는 제2차 세계대전 후 소련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서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체결된 조약입니다. 동유럽 국가 대부분이 나토에 가입했으며 우크라이나도 나토와 EU 가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러시아는 미국을 포함한 서방세력이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을 부추겨 러시아의 안보를 위협한다고 주장하며 자신들의 군사적 행동을 정당화합니다.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 국제사회 반응은?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 미국 반응 (출처:KBS)

미국은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 우려에 대해 미국이 할 수 있는 모든 포괄적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러시아를 국제사회로부터 고립시키는 경제적·비경제적 제재와 더불어 우크라이나에 군사적 지원도 약속했습니다. CNN은 총기, 탄약류 등 군사원조물자가 지난 9일 우크라이나에 도착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 G7 반응 (출처:KBS)

주요 7개국 외교장관회의는 공동성명을 통해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설과 관련해 러시아에 강력한 경고를 했습니다. 이와 함께 우크라이나 분쟁 해결을 위한 러시아·우크라이나·프랑스·독일의 4자 회담인 노르망디 형식 회담을 지지한다고 밝혔습니다. 

 


미국에 이어 국제사회까지 강력한 경고를 보내고 있어 러시아가 실제 군사적 행동을 할 가능성은 적어 보입니다. 하지만 미중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러시아 문제까지 생기면서 신냉전 구도는 더욱 뚜렷해졌습니다. 

 

 

 

반응형